크론병 식생활 가이드
뽀인트 찍어보자면!
연세가 많은 노인보다는 젊은 사람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는 크론병.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20~30대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나이가 어린 15세부터도 나타나기도 하는데
한번 걸려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만성질환으로
치닫는 반갑지 않은 질병입니다.
특히 흡연을 하는 남성들은 금연을 하지 못하면
재발이 잦고 증상호전이 잘 되지 않으니
일단 증상이 나타나고 병명을 확인하셨다면
큰 맘 먹고 금연을 시작하셔야 하겠습니다.
크론병 식생활 가이드는 잘못된 식생활에서부터
발병이 된 병이기 때문에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여태껏 해오고 먹어왔던 생활습관, 식습관을
바꾸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자가면역질환으로 연예인들중에서도 앓고 있다
는 소식이 전해져서 이 병에 대해서 모르던 분
들도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사실 크론병이 걸려
도 이 병에 걸린줄 모르고 장건강이 좋지 않다
고만 생각하시고 병을 키우는 분들이 많습니다.
병원을 찾아서 진단을 받고 어떠한 질병인지
확인하셔야만 알수 있는 질병입니다.
입에서 항문까지 모든 음식이 들나가고 흡수되
고 배변을 하는 입구까지 어디든 염증이 생기는
질병이 크론병인데 염증이 심해지면 협착증,
구멍이 생기기도 하여 합병증은 물론 일부 장을
잘라내어야 할수도 있습니다
자. 우선 크론병 식생활 가이드가 주제이니
이제 서론 접고 본론 들어가보겠습니다.
우선 크론병에 걸린 모든 분들은 단언컨데 장건
강이 좋다 할수 없으실 것입니다.
자가면역질환이 장건강이 무너지면서부터 생기
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장건강을 좋게 하는 음식을 먼저
드시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유산균으로 유익균의 먹이를 주어야 하며,
비타민a가 풍부한 식품으로 점막세포의 항산
화작용을 도와야 합니다.
식이섬유도 빼놓을수 없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너무 과하게 식이섬유를 많이
챙겨드시면 소화가 힘들어지니 식이섬유가 함
유된 식품을 반찬에 항상 곁들여 드셔야 합니다.
오메가3가 풍부한 들기름, 생선등을 항상 식사
시에 곁들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콩으로 만들어진 음식,
그러니까 청국장찌게, 각종 두부요리, 살짝인힌 달걀요리,
기름기 없는 육류고기는 곁들여 먹는다는 생각으로 조금만
드시면서 단백질섭취를 하셔야 합니다.
크론병이 생긴 분들의 대부분은 영양불균형으로
건강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건강기능식품으로 천연의 종합영양제
등을 드시면서 다른 식품을 곁들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b군이 풍부한 식품이나 천연건강식품을 곁
들여 드시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각종 음식에 든 영양소의 대사를 돕기 때문에 필
수이며, 간기능을 도와 음식에서 나오는 독소도
제대로 해독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각종 영양소와 미네랄은 하루에 필요한 양만큼
함께 들어가주어야 제기능을 할수 있는데
균형이 깨진 영양흡수는 제대로 흡수가 되지 않
아 크게 도움이되지 않습니다.
요즘은 옜날과 달리 많은 음식이 영양이 떨어지
기 때문에 음식으로 모든 영양을 흡수하려고 하
는 것은 욕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운동과 함께 술, 담배를 끊거나 최대한으로
줄이고 패스트푸드, 인스턴스식품은 되도록 끊어
야 합니다.
음식을 가려먹으려 하지 마시고 식단을 건강한
식단으로 바꾸셔야지만 만성질환의 고리를
끊어낼수 있습니다.
모든걸 다 설명하기에는 부족한듯 하여
크론병 식생활 가이드의 뽀인트만 찍어보았습니다.
왜, 무엇때문에 식단을 위 내용처럼 먹어야 하
는지 설명하려면 너무 페이지가 길어지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네요 ㅎㅎ
이 병이 나으려면 무조건 식생활습관을 바꾸어야
합니다. 누가 보아도 건강하고 조화로운 식단으로..
음... 더 어렵나요....ㅎㅎㅎ
특히 장건강, 간건강에 뽀인트를......^^
'건강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검염 증상 눈건조, 눈통증 있다면 확인~ (0) | 2016.11.29 |
---|---|
코감기 빨리 낫는 법 똑바로 알자!~ (0) | 2016.10.28 |
산후우울증 지금 자가진단테스트 해보세요 (0) | 2016.04.07 |
변비증상 나는 아닐꺼라는 안심을 깹니다~ (0) | 2016.03.24 |
입덧 완화 방법 과연~? 꿀팁 나갑니다~ (0) | 2016.03.03 |